☞ [~습니다]
와 [~읍니다]
아직까지 '∼습니다'와 '∼읍니다'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출판을 계획하고 있읍니다.'로 쓰인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이전에는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썼기 때문에 혼동할 수밖에 없었으나 이제는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무조건 '∼습니다'로 쓰면 됩니다. 그런데 있음, 없음을 있슴, 없슴으로 쓰는 것은 잘못입니다.
이때에는 항상 '있음', '없음'으로 써야 합니다.
☞ [안]
과 [않∼]
안과 않도 혼동하기 쉬운 우리말 중의 하나입니다. 안은 아니의 준말이요, 않은 아니하다의 준말이라는 것만 명심하면 혼란은 없을 것입니다. 예를 들면, “우리의 소비문화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되겠다”라는 문장에서 않으면은 아니하면의, 안은 아니의 준말로 사용된 것입니다.
☞ [~대로]
와 [~데]
(~데)는 곳, 장소와 상태.처지.경우를 나타날 때, 그리고 받침 없는 체언에 붙어 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하여 말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높은 데가 어디냐] [배 아픈 데는 이 약이 좋다] [그 조각상은 정말 국보이데]와 같이 사용합니다. (~대로)는 그 모양과 같이, 그 방향에 따라서, 행동이나 상태가일어나는 그때마다와 같은 뜻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그대로 하여라] [지시한 대로 이행하거라] [생각나는 대로 말하라]처럼 쓰여집니다.
☞ [붙이다]
와 [부치다]
붙이다와 부치다도 각기 그 뜻이 많아 쓰임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붙이다는 붙게 하다, 서로 맞닿게 하다, 두 편의 관계를 맺게 하다, 암컷과 수컷을 교합시키다, 불이 옮아서 타게 하다,
노름이나 싸움 따위를 하게 하다, 딸려 붙게 하다, 습관이나 취미 등이 익어지게 하다, 이름을 가지게 하다, 뺨이나 볼기를
손으로 때리다란 뜻을 지닌 말입니다.
부치다는 힘이 미치지 못하다, 부채 같은 것을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키다, 편지나 물건을 보내다,
논밭을 다루어서 농사를 짓다, 어떤 문제를 의논 대상으로 내놓다, 원고를 인쇄에 넘기다 등의 뜻을 가진 말입니다.
그 예를 몇 가지 들어 보기로 하겠습니다.
- 힘이 부치는 일이다. 편지를 부치다. 논밭을 부치다. 빈대떡을 부치다.
- 식목일에 부치는 글입니다. 회의에 부치기로 한 안건입니다.
- 우표를 붙이다. 책상을 벽에 붙이다. 흥정을 붙이다. 불을 붙이다.
- 조건을 붙이다. 취미를 붙이다. 별명을 붙이다.
☞ [∼율]
과 [∼률]
한 예로 합격률인지 합격율인지 혼동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 경우는 모음이나 ㄴ으로 끝나는 명사 다음에는 ∼율을 붙여 백분율, 사고율, 모순율, 비율 등으로 쓰고, ㄴ받침을 제외한 받침 있는 명사 다음에는 ∼률을 붙여 도덕률, 황금률, 취업률, 입학률, 합격률 등으로 쓰면 됩니다.
출처) 눈높이 국어 문법 정리집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요양보호사 작업 현장속으로 (0) | 2010.02.16 |
---|---|
[스크랩] 치매 예방 법 (1) | 2010.02.16 |
[스크랩] 5초안에 웃겨드립니다. (0) | 2010.02.08 |
[스크랩] 아름다운 교회..메시아찬양. (0) | 2010.02.05 |
[스크랩] 이노래 가슴 시리네.. (0) | 2010.02.04 |